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건강한 캠핑 전원주택에서 삶을 위해 제일 싫어하는 해충중 날벌레 깔따구는 뭘까?에 대해서 알아봅니다.

날벌레 물림

 

피가 바로 나는 벌레라면 아마도 “노래기파리”나 “모기”와 달리, 모래파리(모래파리, 속명: 사투루스류) 또는 각다귀류(각다귀과), 파리류(특히 등에붙은 뱀파이어파리) 종류일 가능성이 크댜.

하지만 한국에서 **“피가 바로 나는 날벌레”**를 흔히 설명할 땐 보통 모기등에붙은 뱀파이어파리를 가장 많이 떠올린다.

 

1. 종류

 1️⃣ 등에붙은 뱀파이어파리 (노랑파리 등)

  • 파리 중에서도 노랑파리 같은 종은 동물 피를 빨아먹는 습성이 있다.
  • 보통 소나 말 주변에서 많이 보이지만, 사람을 물기도 함.
  • 작은 구멍을 내고 피를 빨아먹으니 곧바로 피가 난다.
  • 특징:
    • 크기: 약 6~12mm
    • 외형: 노란빛 또는 갈색의 몸통, 짧은 더듬이
    • 활동 시기: 여름철 낮 시간대
    • 서식지: 목장, 습지, 숲 가장자리 등
  • 물림 증상:
    • 강한 통증과 함께 즉시 피가 나는 경우가 많음
    • 붓기와 가려움이 심하며, 2차 감염 위험이 있음

2️⃣  모래파리(모래파리, 산모래파리)

  • 이름처럼 모래처럼 생겼고 매우 작아.
  • 피부에 상처를 내서 피를 흘리게 하고, 피를 빨아먹어.
  • 매우 작은 벌레라 잘 안 보여서 사람들한테도 불쾌감이 커.
  • 특징:
    • 크기: 약 6~12mm
    • 외형: 노란빛 또는 갈색의 몸통, 짧은 더듬이
    • 활동 시기: 여름철 낮 시간대
    • 서식지: 목장, 습지, 숲 가장자리 등
  • 물림 증상:
    • 강한 통증과 함께 즉시 피가 나는 경우가 많음
    • 붓기와 가려움이 심하며, 2차 감염 위험이 있다.

2. 예방및 관리

 1️⃣ 방어 (몸과 피부를 보호)

    • 벌레가 피부에 닿지 않도록 소매, 긴 바지를 입음.
    • 밝은 색 옷을 입으면 벌레가 덜 달려듬.
      ✔️ 기피제 사용
    • DEET, 피카리딘, 이카리딘 등이 든 모기·벌레 기피제를 노출된 피부에 뿌림.
    • 자연유래 오일(레몬그라스, 시트로넬라, 라벤더 등)을 디퓨저나 스프레이로도 활용할 수 있음.
    예시:
    • 야외활동 전, 목·팔·다리 노출부위에 기피제 바르기
    • 집에선 디퓨저나 에센셜 오일(라벤더, 레몬그라스)로 공기 중 기피 효과

2️⃣ 차단 (주변 환경 관리)

  • 창문과 문에 방충망을 설치해 벌레 유입을 최소화.
  • 캠핑 시엔 텐트에 모기장을 꼭 달자.
    ✔️ 정리정돈
  • 음식물 찌꺼기, 음식물 쓰레기, 정체된 물을 빨리 처리.
  • 깔다구·모기 유충은 물에서 번식하니 물웅덩이, 화분받침 물 제거 중요!

예시:

  • 집 앞 화단, 물빠짐 확인.
  • 캠핑장 주변엔 음식물은 뚜껑 있는 통에 보관.

 3️⃣ 관리 (상황별 대응)

  • 해질 무렵~밤에는 벌레 활동이 왕성하니 야외활동 줄이기.
    ✔️ 야외활동 후 바로 샤워
  • 땀·피부 분비물은 벌레를 더 끌어들이니, 깨끗이 씻으면 예방효과가 높음.
    ✔️ 집 주변 방역
  • 지역 보건소나 시·군청에서 모기 방역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음.
  •